|
�� ‘야쓰이 비망록’으로 본 조선 발굴비사 |
|
|
|
과거 일본학자들이 뭘 조사했는지도 모르면서 식민사학 극복할 수 있나 |
2016-09-19 |
|
경주 고분들 이 잡듯 파헤쳤지만, 진구왕후 흔적은 안나왔다 |
2016-09-06 |
|
일제강점기 최악의 발굴 ‘악명’…만신창이가 된 창녕 고분들 |
2016-08-23 |
|
100년전 팠던 익산 쌍릉은 판도라의 상자가 됐다 |
2016-08-09 |
|
남도고분 서너개 파보고 “왜의 땅” 못박은 야쓰이 |
2016-07-26 |
|
대박 터뜨린 석암동 9호분 발굴, 일본 식민사학자들은 쾌재를 불렀다 |
2016-07-12 |
|
열차 타고 가다 우연히 발견한 대방태수의 무덤, 식민사관의 초석을 놓다 |
2016-06-28 |
|
도리이가 처음 꺼내고 이마니시가 굳힌 한반도낙랑군설 |
2016-06-14 |
|
‘맞수’ 이마니시의 또다른 발굴…낙랑유적설이 되다 |
2016-05-31 |
|
평양 고분서 나온 한나라 거울의 정체는 무엇일까 |
2016-05-17 |
|
고구려 무덤? 야쓰이는 낙랑군에 관심이 없었다 |
2016-05-03 |
|
마구 파내려간 대동강변 고분, 거기 중국식 벽돌 무덤이… |
2016-04-19 |
|
1909년 낙랑유적 조사, ‘고대사 전쟁’의 씨앗으로 |
2016-04-05 |
|
석침총 이어 황남리 남총…파고보자식 발굴은 계속됐다 |
2016-03-22 |
|
“그래 이거다!” 야쓰이는 경주 봉분을 파헤쳤다 |
2016-03-08 |
|
‘야쓰이 문서’란? 초창기 한반도 고적조사 핵심 참고자료…메모·사진목록 등 1만점 |
2016-02-29 |
|
‘신라 정벌 흔적 찾겠다’ 왜곡된 역사에 심취한 야쓰이의 야심 |
2016-02-29 |
|
|